1,2,3 강을 통하여 기본적인 서버 여는법과 설정을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서버에 플러그인을 적용 시키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플러그인이란 개발자가 만든 서버 구현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이러한 서버 구현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서버에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시킬수 있기 때문에 많은 서버들이 다른 서버와는 다른 다양한 플러그인을 추가시켜 유저들이 자신의 서버에 오게끔 하기도 합니다.


복잡한 설정이 필요한 플러그인들도 존재하지만 대부분 넣기만 하면 바로 사용 가능한 플러그인들이고 넣는 방법 또한 쉽기 때문에 강의를 잘 따라와 주시면 됩니다.

 



먼저 구글에 bukkit plugins를 검색 하여 제일 상단에 있는 사이트를 접속합니다. 다른 플러그인 사이트들도 많이 있지만 저는 이곳이 자료량이 많기 때문에 저는 이 사이트에서 플러그인을 찾아 씁니다.




메인 화면입니다. 왼쪽의 메뉴에는 용도별 플러그인 카테고리가 존재합니다. 자신이 설정하려는 용도에 맞춰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에센셜 플러그인을 넣고 싶기 때문에 검색을 이용 하도록 하겠습니다.

에센셜은 여러가지 명령어를 사용할수 있는 플러그인입니다. 많은 서버에서 이 플로그인을 사용함으로 꼭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에센셜 플러그인을 검색하여 파일을 클릭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곳에서 자신의 게임 버전과 맞는 버전의 플러그인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꼭 자신의 버전과 맞는 플러그인을 다운로드 하셔야 제대로 작동합니다.




플러그인을 다운 받으신 후 자신의 서버파일에 들어가 plugins의 폴더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제가 받은 에센셜 플러그인은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그대로 실행시켜 주시면 됩니다.




서버에 접속 후 /pl을 입력하면 자신의 서버에 적용된 플러그인 목록이 나옵니다. 에센셜을 넣지 않고 다른 플러그인을 추가하신분들은 pl이 아닌 plugins 라는 완전체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노란 박스를 보시면 퍼미션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에센셜 플러그인과 함께 다운받은 퍼미션플러그인입니다. 실수로 에센셜 대신 퍼미션을 넣었나봅니다.


추가적으로 서버에 넣는 플러그인들을 몇가지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

첫번째로 에센셜 플러그인입니다. 명령어를 줄여주는 역할 뿐 아니라 각종 도움되는 기능이 추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에센셜 홈페이지에 나와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두번째로 그룹매니저 플러그인입니다. 예전에 사용하던 퍼미션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플레이어의 등급에 따라 권한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세번째로 월드에딧입니다. 각종 명령어를 사용해 블록을 스폰시킬수 있습니다. 노가다가 힘들때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그 외에 테러방지 플러그인 잠금 플러그인들은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일일히 설명드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마인크래프트 강좌 파트 1과 파트 2에서는 서버를 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면 오늘은 서버설정하는 법에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베이스는 파트1에서 설명드린 버킷을 이용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파트2에서의 노하마치 서버 만들기는 왼쪽의 메뉴들에 나와있습니다.



파트1의 내용을 잘 따라오셨다면 이와 같은 파일들이 생성되었을 것입니다. 먼저 폴더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빨간 박스안의 내용들을 하나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logs는 말 그대로 로그입니다. 크게 만질일은 없으니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plugins 폴더는 플러그인을 넣는 폴더입니다. 플러그인을 이쪽 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

world는 서버의 맵파일입니다. 맵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원하는 맵이 있으시다면 폴더를 교체하는 식으로 서버의 맵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바로 옆의 nether는 지옥맵 파일입니다. 지옥에 갈일이 없는 분이시라면 지옥을 못가도록 설정하시고 이파일을 삭제하신다면 조금이라도 서버가 쾌적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nd는 엔더월드의 맵파일입니다. 위의 지옥과 동일합니다.



폴더를 다 살펴보았다면 이제는 파일들을 살펴볼 차례입니다. 여러개의 파일들이 있지만 저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 하나의 파일만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server.properties 파일입니다.



여러가지 서버에 관련된 세팅을 할수 있습니다. 저는 그중에 제일 자주쓰이는 항목들만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


allow-nether은 지옥월드 생성 여부입니다. True일시 생성 False일시 비생성입니다.

gamemode는 0=서바이벌 1=크리에이티브 2=여드벤처 임으로 각자의 서버 주제에 맞게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difficulty는 난이도를 뜻합니다 0=평화로움 1=쉬움 2=보통 3=어려움 입니다. 각 난이도마다 특징이 있으니 검색해 보시고 난이도를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vp는 True일시 유저들과의 싸움이 가능하고 False는 싸움이 불가능합니다.

max=player는 최대 인원수를 설정가능합니다. 저는 20을 추천드립니다.

server-ip 뒤에는 자신의 서버 아이피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서버아이피를 확인하는 방법은 네이버에 아이피 보기를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white-list에 True를 넣게 된다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사람만 서버에 접속 가능합니다.

online-mode는 True를 적게되면 정품을 구매한 유저만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고 False일시 복돌 유저도 접속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motd 뒤에는 자신의 서버 이름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버킷서버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크래프트 버킷을 이용한 서버 만들기에 대하여 글을 올렸었는데요 버킷을 이용한 서버를 열고 친구들과 함께 즐기려면 하마치라는 프로그램이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오늘은 하마치가 없이 무료로 서버 호스팅을 해주는 사이트를 이용하여 서버를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구글에 aternos를 검색하여 첫번째 사이트를 접속합니다. 이 사이트는 무료로 서버를 호스팅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이 이외에도 server.pro 와 같은 무료 호스팅 서비스 사이트가 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aternos가 더 좋았기 때문에 이번포스팅에는 aternos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들어가셔서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시면 빨간 박스 부분의 지금 가입하세요를 클릭해줍니다. 




서버 만들기를 클릭해줍니다. 자체적인 아이디를 만들어도 상관 없고 아래의 구글계정. 페이스북계정, 심지어 트위치 계정도 사용가능합니다. 아이디는 아무걸로 해도 상관 없을듯 합니다.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이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사용자의 이름을 설정하시면 아래에 호스팅 주소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나중에 이 호스팅 주소를 상대방이 입력하게되면 자신이 연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가입이 완료되었으니 로그인을 해줍니다.




가입까지 완료되었고 로그인을 하셨으면 왼쪽 메뉴에 있는 서버를 클릭해주면 이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저기서 시작버튼을 눌러주면 서버가 시작됩니다. 서버가 열리기까지는 약 5분에서 7분이 소모됩니다. 하지만 그 전에 플러그 인이나 소프트웨어를 만져줘야 원활한 서버가 완성되기 때문에 아직 시작은 하지 않습니다. 


시작의 아래부분을 보시면 소프트웨어 가 보이실것입니다. 교체를 클릭하여 저와 같이 스피갓으로 만들어 주시는게 좋습니다. 버전은 여러분이 열고싶은 서버의 버전과 동일하게 설정해 줍니다.




설정 칸에서는 여러가지 서버 설정을 할수 있습니다. 써 있는 그대로의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따로 설명은 적지 않겠습니다.




서버에서 가장 중요한 플러그인 입니다. 다양한 플러그인들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필요한 플러그 인들을 검색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에센셜은 필수로 넣는 항목임으로 에센셜과 추가로 자신에게 맞는 플러그인들을 찾으시면 됩니다.




간혹가다 플러그인의 콘피그를 수정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파일에 들어가셔서 콘피그 수정이 필요한 폴더에 들어가 주시면 됩니다. 저는 Gwarp 라는 플러그인의 콘피그를 수정하고 싶기 때문에 Gwarp라는 플러그인 폴더에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같이 수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작버튼을 눌러 위와같이 온라인이 뜨면 서버가 열린것 입니다.


 aternos을 이용하면 좋은 점은 일단 무료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서버에 사람이 한명이라도 들어가 있다면 자신의 컴퓨터를 종료해도 호스팅 서버에서 열어 주기 때문에 24시간 서버를 열수 있다는것이 장점입니다. 


오늘은 aternos를 이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하마치 없이 서버를 여는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를 통하여 친구들과 멀티플레이를 즐기려면 서버가 필요합니다. 그 서버를 여는데에는 보통 2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하나는 spigot을 이용하는것과 다른 하나는 craftbukkit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래프트 버킷을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하고 실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구글에 craftbukkit을 검색하여 맨 위의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이 사이트는 공식 사이트이며 바이러스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 경로가 아닌 다른 블로그에서 다운받는것 보다는 안전합니다.




버킷은 자신의 마인크래프트의 버전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시면 다양한 버전의 버킷이 존재합니다. 저는 최신버전의 마인크래프트를 즐기고 있기때문에 1.14.4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받았습니다. 각자의 버전에 맞게 다운로드합니다.




다운을 받으셨다면 컴퓨터 내의 다운로드 폴더에 파일이 다운로드 되었을텐데 그 폴더를 따로 빼내어 새폴더에 넣습니다. 다른 파일들과 섞이면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편의성을 위함입니다.




그 후 server라는 이름의  텍스트 파일을 하나 만듭니다.


그 후 위의 그림과 같이 입력해줘야 하는데 각 버전마다,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부가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echo off 는 공통적으로 적습니다.


그후

java -Xms설정하고싶은 최저램 -Xmx설정하고싶은 최대램 -jar 자신이 다운받은 버킷의 이름을 그대로 복붙하시면 됩니다..jar


마지막으로 세번줄에 pause를 입력합니다.


램설정같은 경우에는 저와 동일하게 해도 무리 없이 돌아가는 사양을 적어두었으니 저와 동일하게 적으셔도 상관없을겁니다. 하지만 자신이 다운받은 버킷의 이름을 입력하는 칸에는 꼭 자신이 다운받은 버킷의이름을 정확히 적어주세요 



그 후 위의 사진순서대로 확장자명 숨기기의 표시를 해제해 주세요




그 후 서버 파일의 확장자를 txt에서 bat로 바꿔 준 후 실행을 합니다.




실행한다면 이러한 창이 나오게 됩니다. 20초 정도 기다리신 후 계속하려면 아무키나 누르십시오 라는 문구가 나온다면 종료시켜줍니다.




위의 과정들을 정상적으로 수행 하셨다면 파일들이 여러개 생성되었을 것입니다. 그 파일 중에서 eula 라는 파일을 클릭하여 열어줍니다.




그 후 eula=false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true로 변경시켜 줍니다.




그 후 다시 서버파일을 실행해주시면 로딩이 시작되며 여러가지 파일들을 생성하기 시작합니다.




완료되었으니 파일들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어있는지 확인을 해봅시다.




정상적으로 파일들이 생성된것 습니다. 이후에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한 후 멀티플레이 부분에 자신의 아이피를 입력하여 서버에 접속할수 있습니다.


 이로써 크래프트 버킷을 이용한 마인크래프트 서버 만들기 강좌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서버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