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인크래프트 강좌 파트 1과 파트 2에서는 서버를 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면 오늘은 서버설정하는 법에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베이스는 파트1에서 설명드린 버킷을 이용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파트2에서의 노하마치 서버 만들기는 왼쪽의 메뉴들에 나와있습니다.



파트1의 내용을 잘 따라오셨다면 이와 같은 파일들이 생성되었을 것입니다. 먼저 폴더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빨간 박스안의 내용들을 하나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logs는 말 그대로 로그입니다. 크게 만질일은 없으니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plugins 폴더는 플러그인을 넣는 폴더입니다. 플러그인을 이쪽 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

world는 서버의 맵파일입니다. 맵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원하는 맵이 있으시다면 폴더를 교체하는 식으로 서버의 맵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바로 옆의 nether는 지옥맵 파일입니다. 지옥에 갈일이 없는 분이시라면 지옥을 못가도록 설정하시고 이파일을 삭제하신다면 조금이라도 서버가 쾌적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nd는 엔더월드의 맵파일입니다. 위의 지옥과 동일합니다.



폴더를 다 살펴보았다면 이제는 파일들을 살펴볼 차례입니다. 여러개의 파일들이 있지만 저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 하나의 파일만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server.properties 파일입니다.



여러가지 서버에 관련된 세팅을 할수 있습니다. 저는 그중에 제일 자주쓰이는 항목들만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


allow-nether은 지옥월드 생성 여부입니다. True일시 생성 False일시 비생성입니다.

gamemode는 0=서바이벌 1=크리에이티브 2=여드벤처 임으로 각자의 서버 주제에 맞게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difficulty는 난이도를 뜻합니다 0=평화로움 1=쉬움 2=보통 3=어려움 입니다. 각 난이도마다 특징이 있으니 검색해 보시고 난이도를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vp는 True일시 유저들과의 싸움이 가능하고 False는 싸움이 불가능합니다.

max=player는 최대 인원수를 설정가능합니다. 저는 20을 추천드립니다.

server-ip 뒤에는 자신의 서버 아이피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서버아이피를 확인하는 방법은 네이버에 아이피 보기를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white-list에 True를 넣게 된다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사람만 서버에 접속 가능합니다.

online-mode는 True를 적게되면 정품을 구매한 유저만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고 False일시 복돌 유저도 접속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motd 뒤에는 자신의 서버 이름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버킷서버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