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인크래프트 서버 여는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를 통하여 친구들과 멀티플레이를 즐기려면 서버가 필요합니다. 그 서버를 여는데에는 보통 2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하나는 spigot을 이용하는것과 다른 하나는 craftbukkit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래프트 버킷을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하고 실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구글에 craftbukkit을 검색하여 맨 위의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이 사이트는 공식 사이트이며 바이러스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 경로가 아닌 다른 블로그에서 다운받는것 보다는 안전합니다.




버킷은 자신의 마인크래프트의 버전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시면 다양한 버전의 버킷이 존재합니다. 저는 최신버전의 마인크래프트를 즐기고 있기때문에 1.14.4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받았습니다. 각자의 버전에 맞게 다운로드합니다.




다운을 받으셨다면 컴퓨터 내의 다운로드 폴더에 파일이 다운로드 되었을텐데 그 폴더를 따로 빼내어 새폴더에 넣습니다. 다른 파일들과 섞이면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편의성을 위함입니다.




그 후 server라는 이름의  텍스트 파일을 하나 만듭니다.


그 후 위의 그림과 같이 입력해줘야 하는데 각 버전마다,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부가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echo off 는 공통적으로 적습니다.


그후

java -Xms설정하고싶은 최저램 -Xmx설정하고싶은 최대램 -jar 자신이 다운받은 버킷의 이름을 그대로 복붙하시면 됩니다..jar


마지막으로 세번줄에 pause를 입력합니다.


램설정같은 경우에는 저와 동일하게 해도 무리 없이 돌아가는 사양을 적어두었으니 저와 동일하게 적으셔도 상관없을겁니다. 하지만 자신이 다운받은 버킷의 이름을 입력하는 칸에는 꼭 자신이 다운받은 버킷의이름을 정확히 적어주세요 



그 후 위의 사진순서대로 확장자명 숨기기의 표시를 해제해 주세요




그 후 서버 파일의 확장자를 txt에서 bat로 바꿔 준 후 실행을 합니다.




실행한다면 이러한 창이 나오게 됩니다. 20초 정도 기다리신 후 계속하려면 아무키나 누르십시오 라는 문구가 나온다면 종료시켜줍니다.




위의 과정들을 정상적으로 수행 하셨다면 파일들이 여러개 생성되었을 것입니다. 그 파일 중에서 eula 라는 파일을 클릭하여 열어줍니다.




그 후 eula=false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true로 변경시켜 줍니다.




그 후 다시 서버파일을 실행해주시면 로딩이 시작되며 여러가지 파일들을 생성하기 시작합니다.




완료되었으니 파일들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어있는지 확인을 해봅시다.




정상적으로 파일들이 생성된것 습니다. 이후에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한 후 멀티플레이 부분에 자신의 아이피를 입력하여 서버에 접속할수 있습니다.


 이로써 크래프트 버킷을 이용한 마인크래프트 서버 만들기 강좌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서버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